| |
|
인증 NEWS
-
2023년(하반기) 대학기관평가인증 인증패(서) 수여식
-

❏ 한국대학교육협의회(이하 대교협) 병설 한국대학평가원(원장 안세근, 이하 평가원)은 2023년 12월 27일(수) JW 메리어트 동대문 스퀘어 서울 그랜드볼룸(서울 종로구)에서 「2023년(하반기) 대학기관평가인증 인증패(서) 수여식」을 개최하였다. 수여식에는 2023년(하반기) 인증을 획득한 50개 대학의 담당자 120명이 참석하였다.
❏ 이번 2023년(하반기) 대학기관평가인증에서는 총 56개 신청 대학 중 49개 대학 ‘인증’, 1개 대학 ‘조건부인증’, 5개 대학 ‘인증유예’, 1개 대학 ‘불인증’ 판정을 받았다. ‘인증’ 대학에는 5년간의 인증 기간을 부여하고, ‘조건부인증’ 대학은 2년간의 인증 기간을 부여한 후 1개년 개선 실적으로 보완평가를 실시한다. ‘인증유예’ 대학은 2년 이내 개선 실적으로 재평가를 실시하며, ‘불인증’ 대학은 판정 이후 차회에 재신청할 수 있다.
❏ 인증기간은 각 대학별로 상이하며, 대학별 인증기간은 한국대학평가원 홈페이지 (https://aims.kcue.or.kr)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
❏ 아울러 2023년(하반기) 대학기관평가인증을 통해 목포가톨릭대학교의 5.6 지역사회 연계·협력 평가준거 관련하여 ‘지역 소규모 대학의 지역 상생 발전을 위한 프로젝트’가 우수사례로 선정되었으며, 선정된 우수사례는 전 대학사회에 공유하여 대학 교육의 질 개선을 위한 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
|
| |
|
|
|
|
-
4주기 대학기관평가인증 평가기준(안) 공청회
-
❏ 한국대학교육협의회(이하 대교협) 병설 한국대학평가원(원장 안세근, 이하 평가원)은 2023년 12월 18일(월) 우송대학교(서캠퍼스) 내 우송예술회관(대전 동구)에서 「4주기 대학기관평가인증 평가기준(안) 공청회」를 개최하였다. 이번 공청회에는 연구책임자 안상두(중앙대 교수)와 대학관계자 293명이 참여하였다.
❏ 이번 공청회는 4주기 대학기관평가인증의 개편 방향, 평가영역별 및 평가준거 및 인증기준(안), 편람(안) 등 4주기 대학기관평가인증의 전반적인 내용과 질의응답 시간으로 구성되었다.
❏ 공청회 개최 후속으로 4주기 대학기관평가인증 평가기준(안)에 대하여 2024년 1월 19일(금)까지 의견 수렴을 진행하였다. 자세한 내용은 평가원 홈페이지(https://aims.kcue.or.kr) 자료실에서 관련 자료집 내용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
|
| |
-
3주기 인증대학 인증자격모니터링 대학 설명회
-

❏ 한국대학교육협의회(이하 대교협) 병설 한국대학평가원(원장 안세근, 이하 평가원)은 9월 7일(목) 「3주기 인증대학 인증자격모니터링 대학 설명회」를 개최하였다. 이번 설명회는 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하여 화상회의 솔루션(ZOOM)을 활용한 온라인 설명회 형식으로 진행되었고, 3주기 인증대학 92개교의 담당자 135명이 참석하였다.
❏ 인증자격모니터링은 대학기관평가인증 결과에 대한 지속적 관리, 인증대학의 평가 결과 유지와 질적 수준 향상을 통한 대학 발전 유도, 대학기관평가인증 이후 인증대학의 변화 정보 및 동향 파악을 목적으로 인증 획득 2년 후에 실시하며, 「대학기관평가인증규정」 제23조에 따라 인증을 받은 대학은 반드시 참여해야 한다.
❏ 이번 설명회는 3주기 인증대학을 위한 설명회로, 「2021년 인증대학 인증자격모니터링 편람」과 「2021년 인증대학 인증자격모니터링 대학 설명회 자료집」을 배포하였다. 설명회를 통해 3주기 인증자격모니터링의 주요 변경 사항, 판정 및 조치사항, 추진 절차, 수수료, 보고서 작성 방법 등을 안내하였다.
❏ 자세한 내용은 평가원 홈페이지(https://aims.kcue.or.kr) 자료실에서 관련 자료집 내용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
|
-
제16기 대학평가인증위원회 제1차 회의
-
❏ 한국대학교육협의회(이하 대교협) 병설 한국대학평가원(원장 안세근, 이하 평가원)은 2023년 12월 19일(화) 컨퍼런스하우스 달개비(서울 중구)에서 「제16기 대학평가인증위원회 제1차 회의」를 개최하였다. 이번 회의에는 대학평가인증위원회 위원 14명, 평가원 관계자 7명, 2023년(하반기) 평가단장 7명 등 총 28명이 참석하였다.
❏ 제1차 회의에서는 2023년(하반기) 대학기관평가인증 평가 결과 확정 심의, 2020년 인증대학 인증자격모니터링 시정 권고 대학 인증 유지 여부 확정 심의, 2024년 대학기관평가인증(시간)강사 강의료 기준값 심의, 대학기관평가인증 후속 조치 관련 수수료 설정 및 인상(안) 심의, 인증자격모니터링 정량지표 기준값 조정 및 적용(안) 심의, 경성대학교의 인증자격모니터링을 대신한 본평가 신청 심의 등에 대해 논의를 하였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