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2023-03-08

인증 NEWS 인증 FOCUS 인터뷰
 
 
 

인증 NEWS

  • 2022년(하반기) 대학기관평가인증 인증패(서) 수여식


  • ❏ 한국대학교육협의회(이하 대교협) 병설 한국대학평가원(원장 안세근, 이하 평가원)은 2022년 12월 29일(목) 호텔 더 플라자 그랜드볼룸(서울 중구)에서 「2022년(하반기) 대학기관평가인증 인증패(서) 수여식」을 개최하였다.
     
    ❏ 이번 2022년(하반기) 대학기관평가인증에서는 총 50개 신청 대학 중 49개 대학이 ‘인증’, 1개 대학이 ‘불인증’ 판정을 받았다. ‘인증’ 대학에는 5년간의 인증 기간을 부여하고, ‘불인증’ 대학은 최초 판정 이후 차회 연도에 재신청할 수 있다.
     
    ❏ 인증기간은 각 대학별로 상이하며, 대학별 인증기간은 한국대학평가원 홈페이지 (https://aims.kcue.or.kr)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 이번 2022년(하반기) 대학기관평가인증을 통해 강남대학교의 ‘1.3 학생모니터링단 ‘참견’’, 한양대학교 ERICA의 ‘2.2 현장연계형 문제해결 교육모델 IC-PBL’, 충북대학교의 ‘3.4 단과대학별 찾아가는 교수법 워크숍’, 순천향대학교의 ‘4.5 RC형 리빙랩 ‘SRC Living Lab Project’ : 생활과 교육의 융합을 넘어 연구의 장으로’, 한국공학대학교의 ‘5.4 학생주도형 창업협동조합(TU온새미) 운영’, 목포대학교의 ‘5.6 지자체와 함께하는 고등학교 유학생 모집’이 우수사례로 선정되었으며, 선정된 우수사례는 전 대학사회에 공유하여 대학 교육의 질 개선을 위한 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
 
  • 2022년(하반기) 대학기관평가인증 평가결과 검증회의


  • ❏ 한국대학교육협의회(이하 대교협) 병설 한국대학평가원(원장 안세근, 이하 평가원)은 2022년 11월 9일(수)~12일(토), 3박 4일 간 소노캄 고양(경기 고양시)에서 ‘2022년(하반기) 대학기관평가인증 평가결과 검증회의’를 개최하였다.
     
    ❏ 이번 평가결과 검증회의에서는 평가단 간, 평가위원 간의 신뢰도 확보를 위하여 2022년(하반기) 대학기관평가인증 신청대학의 평가결과에 따른 평가단별 논의와 평가준거의 판정근거에 대한 평가영역별 최종 검토를 실시하였다. 논의 후에는 평가 의견을 최종 수정·보완하는 작업을 통해 대학 인증 여부 판정에 대한 합의를 도출하였다.
     
    ❏ 평가결과 검증회의를 통해 합의된 대학별 판정 결과와 평가의견은 이후 평가원을 통해 각 대학에 통보하였으며, 평가결과 보고서에 대한 대학 의견 수렴과정을 거쳐 대학평가인증위원회에서 심의·의결 과정을 통해 평가대학별 인증 여부를 최종 결정하였다.
  • 2023년(상반기) 대학기관평가인증 대학담당자 워크숍 및 컨설팅


  • ❏ 한국대학교육협의회(이하 대교협) 병설 한국대학평가원(원장 안세근, 이하 평가원)은 2022년 11월 15일(화) 디이그제큐티브센터코리아 서울파이낸스센터(서울 중구)에서 「2023년(상반기) 대학기관평가인증 신청대학 담당자 워크숍 및 컨설팅」을 개최하였다. 이번 설명회는 대학들의 수요를 고려하여 화상회의 솔루션(zoom)을 활용한 온라인 형식으로 진행되었고, 컨설팅 신청 대학 담당자 15명 내외, 컨설팅 위원 2명, 평가원 3명 등 총 20명 내외 인원이 참석하였다.
     
    ❏ 대학 담당자 워크숍과 관련하여 2022년 11월 11일(금)에 한국대학평가원 홈페이지 자료실에 대학기관평가인증 개요, 자체진단평가보고서 작성 방법, 대학기관평가인증 홈페이지 및 시스템 사용방법, 각 평가영역별 주요 내용과 관련한 영상을 미리 올려서 대학 담당자들이 언제든지 워크숍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고, 대학별 컨설팅은 대학의 신청에 따라 30분 내외의 온라인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 「2023년(상반기) 대학기관평가인증 신청대학 담당자 워크숍 및 컨설팅」의 자세한 내용은 평가원 홈페이지(https://aims.kcue.or.kr) 자료실에서 관련 자료집 내용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2023년(하반기) 대학기관평가인증 대학 설명회


  • ❏ 한국대학교육협의회(이하 대교협) 병설 한국대학평가원(원장 안세근, 이하 평가원)은 2022년 12월 19일(월) 디이그제큐티브센터코리아 서울파이낸스센터(서울 중구)에서 「2023년(하반기) 대학기관평가인증 대학 설명회」를 개최하였다. 이번 설명회는 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하여 화상회의 솔루션(zoom)을 활용한 온라인 설명회 형식으로 진행되었고, 2023년(하반기) 평가 대상 대학을 포함하여 총 65개 대학의 담당자 118명이 참여하였다.
     
    ❏ 설명회는 3주기 대학기관평가인증의 주요 변경 사항, 평가내용 및 판정체계, 일정, 절차, 신청 방법 등 대학기관평가인증의 전반적인 내용과 질의응답 시간으로 구성되었다.
     
    ❏ 2023년(하반기) 대학기관평가인증 참여를 원하는 대학은 2023년 1월 10일(화)까지 신청서 제출 후 수수료를 납부하면 2023년 3월경 평가 대상 대학 확정 통보를 받고 평가가 진행된다. 자세한 내용은 평가원 홈페이지(https://aims.kcue.or.kr) 자료실에서 관련 자료집 내용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인증 FOCUS

 
  • 2022년 제3차 인증운영위원회 회의


  • ❏ 한국대학교육협의회(이하 대교협) 병설 한국대학평가원(원장 안세근, 이하 평가원)은 2022년 10월 13일(목) 밀레니엄 힐튼 호텔 코랄룸(서울 중구)에서 「2022년 제3차 인증운영위원회 회의」를 개최하였다. 이번 워크숍은 인증운영위원 13명, 평가원 7명 등 총 20명이 참여하였다.
     
    ❏ 제3차 인증운영위원회 워크숍 회의에서는 3주기 인증대학 인증자격모니터링 운영 방안 및 2023년 강사 강의료 기준값 변경(안)에 대한 검토, 상지대학교와 상지영서대학교의 통·폐합에 따른 평가·인증 신청 시기 검토 등에 대해 논의를 하였다.
     
    ❏ 인증운영위원회의 임기가 2022년 11월 10일(목)에 종료됨에 따라 차기 회의는 차기 인증운영위원회 구성 후 결정으로 마무리 되었다.
  • 제15기 대학평가인증위원회 제5차 회의


  • ❏ 한국대학교육협의회(이하 대교협) 병설 한국대학평가원(원장 안세근, 이하 평가원)은 2022년 10월 25일(화) 프레지던트호텔 아이비홀(서울 중구)에서 「제15기 대학평가인증위원회 제5차 회의」를 개최하였다. 이번 회의에는 대학평가인증위원회 위원 12명, 평가원 관계자 5명 등 총 17명이 참석하였다.
     
    ❏ 위원회 심의 안건은 ‘2019년(상반기) 인증대학 인증자격모니터링 시정 권고 대학 인증 유지 여부 확정’, ‘2023년(상반기) 대학기관평가인증 평가 대상 대학 확정’, ‘상지대학교 통·폐합에 따른 인증 효력 부여 방안’, ‘2023년 대학기관평가인증 (시간)강사 강의료 기준값 심의’로, 심의 안건은 모두 가결되었다.
     
    ❏ 차기 대학평가인증위원회는 2022년(하반기) 대학기관평가인증 평가 결과 확정 심의를 진행하기로 하였다.
  • 제15기 대학평가인증위원회 제6차 회의


  •  
    ❏ 한국대학교육협의회(이하 대교협) 병설 한국대학평가원(원장 안세근, 이하 평가원)은 2022년 12월 21일(수) 프레지던트 호텔 아이비홀(서울 중구)에서 「제15기 대학평가인증위원회 제6차 회의」를 개최하였다. 이번 회의에는 대학평가인증위원회 위원 13명, 평가단장 3명, 평가원 관계자 9명이 참석하였다.
     
    ❏ 위원회 심의 안건은 ‘2022년(하반기) 대학기관평가인증 평가결과 확정’, ‘대학평가인증위원회 규정 개정(안)’ 및 ‘대학기관평가인증 규정 개정(안)’에 대한 심의였고, 안건은 모두 가결되었다.
     
    ❏ 차기 대학평가인증위원회는 2023년 2월 23일(목)에 개최하였고, 2020년 인증대학 인증자격모니터링 평가 결과 확정 심의, 2019년(하반기) 인증대학 인증자격모니터링 인증 정지 대학 인증 정지 해제 여부 확정 심의, 2023년(하반기) 대학기관평가인증 신청 대학 확정 심의를 진행하였다.
 

인터뷰

 
  • [새로운 평가체제 시안 확정·발표에 따른 Q&A]

  • 교육부는 2022년 12월 16일(금)에 종전의 대학기본역량진단을 탈피한 새로운 평가체제 시안을 확정·발표하고, 2023년 2월 9일(목) 대학 일반재정지원을 위한 평가체제 개편 방안 시안에 대한 공청회를 개최하였다.



    <주요 Q&A>
    Q1) 새로운 평가체제시안 확정·발표에 따라 3주기(2021∼2025년) 대학기관평가인증에서 변화되는 것이 있습니까?
    A) 3주기 대학기관평가인증에서 변하는 것은 없습니다. 평가내용, 평가방법 등 2021년, 2022년과 동일하며, 3주기가 종료되는 2025년까지 변동없이 운영할 예정입니다.
     
    Q2) 적용 시점이 2025학년도인데, 이전에 대학기관평가인증을 받은 대학들은 2025년에 다시 평가를 받아야 하는 것인가요?
    A) 2025학년부터 대학기관평가인증 결과를 활용한 일반재정지원이 적용됩니다. 일반재정지원 대상 선정을 위해 2024년에 인증 유효기간이 있는지를 확인할 것입니다. 이에 이전에 대학기관평가인증을 받은 대학들은 2024년 인증 유효기간을 확인하는 시점까지 인증자격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Q3) 기관평가인증이 없으면 재정지원이 제한되는 만큼, 대학의 인증평가 참여 부담을 완화할 수 있도록 재정 지원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대학기관평가인증 수수료 지원 등의 계획은 없으신가요?
    A) 대학기관평가인증은 「고등교육법 제11조의 2」에 근거하여 고등교육기관으로서의 최소요건을 확인하고 그 결과를 사회적으로 공표하여 신뢰를 부여하는 제도입니다.
    대학혁신지원사업이 대학별 자율 혁신을 통한 체질 개선으로 양질의 대학 교육을 통한 미래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는 바, 대학혁신지원사업 취지에 부합하는 대학기관평가인증 수수료를 국고 지출 항목으로 인정할 충분한 근거가 된다고 봅니다. 이에 교육부 관련 부서에 대학혁신지원사업 사업비로 대학기관평가인증 수수료를 납부할 수 있도록 관련 제도를 건의하였습니다.
    관련하여 지속적으로 건의할 예정이며, 3월 초 발표되는 대학혁신지원사업 기본계획에 해당 내용이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한국대학평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