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l.16

2021-10-18

인증 NEWS 인증 FOCUS 인터뷰
 
 
 

인증 NEWS

  • 2021년 대학기관평가인증 서면평가 및 현지방문평가 워크숍 개최


  • ❏ 한국대학교육협의회(회장 김인철, 이하 ‘대교협’) 병설 한국대학평가원(원장 안세근, 이하 ‘평가원’)은 21년 9월 29일(수) ~ 10월 1일(금), 2박 3일의 일정으로 대구 메리어트 호텔에서 「2021년 대학기관평가인증 서면평가 및 현지방문평가 워크숍」을 개최하였다.
     
    ❏ 평가위원은 지난 2021년 4월, 4주간 3개 통합 권역(서울, 대전, 대구)에서 총 8회에 걸쳐 진행된 「2021년 3주기 대학기관평가인증 평가위원 후보자 풀(Pool) 연수」 이수자 중에서 소속대학의 특성(설립유형, 소재지, 규모 등)을 고려한 후, 신청대학 및 후보자 대학에 대한 기피·제척 절차를 거쳐 확정되었다. 올 해 평가를 위해 평가원에서는 평가위원 35명(평가단 7개)을 위촉하여 인증패 수여식이 열리는 12월 말까지 인증 평가를 수행한다.
     
    ❏ 워크숍을 통해 평가위원들은 평가영역별 평가준거 및 점검사항에 대한 안내를 받았으며, 각 영역별로 이에 대해 논의 한 후, 논의 결과에 따라 서면평가를 수행하였다. 서면평가 수행 후에는 평가결과를 공유하였고, 평가준거별 점검사항 및 판정근거를 다시 검토하였다. 또한, 평가단별로 서면평가에 대한 결과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였으며, 현지방문평가를 위한 세부사항을 조율하였다.
     
    ❏ 이후 평가 일정은 10월 20일(수) ~ 11월 5일(금) 중 대학별 현지방문평가를 진행하고, 현지방문평가 이후 11월 10일(수) ~ 12일(금)에는 평가단 및 평가위원 간 신뢰도, 형평성 제고를 위한 평가결과 검증회의를 개최하며, 12월 중으로 2021년 대학기관평가인증 결과를 최종 심의할 예정이다.

     
 
  • 2018년 인증대학 인증자격모니터링 서면평가 및 현장모니터링 워크숍 개최


  • ❏ 한국대학교육협의회(회장 김인철, 이하 ‘대교협’) 병설 한국대학평가원(원장 안세근, 이하 ‘평가원’)은 2021년 7월 7일(수) ~ 9일(금), 2박 3일의 일정으로 코트야드메리어트 서울 보타닉파크에서 「2018년 인증대학 인증자격모니터링 서면평가 및 현장모니터링 워크숍」을 개최하였다.
     
    ❏ 인증대학 인증자격모니터링은 대학기관평가인증 결과에 대한 지속적 관리를 위한 것으로 인증 획득 후 3년차에 인증대학이 인증기간 동안 인증자격을 갖추고 있는지와 함께 본평가 시 요구된 개선사항을 이행·완료하였는지를 확인하는 평가이다.
     
    ❏ 이번 워크숍에서는 총 15명(평가단 3개)의 인증자격모니터링 평가위원이 2018년 인증대학 14개교에 대한 서면평가를 수행하였고, 현장모니터링 대학 선정, 현장모니터링 대학별 추가요청자료 및 현장모니터링 일정(안)을 확정하였다.

     
  • 2022년(상반기) 대학기관평가인증 대학 설명회 개최


  • ❏ 한국대학교육협의회(회장 김인철, 이하 ‘대교협’) 병설 한국대학평가원(원장 안세근, 이하 ‘평가원’)은 2021년 9월 15(수), 디이그제티브센터코리아 서울파이낸스센터에서 「2022년(상반기) 대학기관평가인증 대학 설명회」를 화상회의 솔루션(ZOOM)으로 개최하였다.
     
    ❏ 이번 설명회는 2022년(상반기) 신청 대학을 위한 설명회로, 「2022년(상반기) 대학기관평가인증 편람」과 「2022년(상반기) 대학기관평가인증 대학 설명회 자료」를 배포하였다. 설명회를 통해 3주기 대학기관평가인증 개관, 주요 변경사항, 대학기관평가인증 평가내용 및 인증기준, 2022년(상반기) 대학기관평가인증 추진일정 등을 안내하였다.
     
    ❏ 「2022년(상반기) 대학기관평가인증 편람」 과 「2022년(상반기) 대학기관평가인증 대학 설명회 자료」는 한국대학평가원 홈페이지(https://aims.kcue.or.kr)의 ‘게시판-자료실’에서 열람 및 다운로드 할 수 있다.

     
  • 2021년 대학기관평가인증 현지방문평가 대학 담당자 간담회 개최


  • ❏ 한국대학교육협의회(회장 김인철, 이하 ‘대교협’) 병설 한국대학평가원(원장 안세근, 이하 ‘평가원’)은 2021년 9월 28(화), 대구 메리어트 호텔에서 「2021년 대학기관평가인증 현지방문평가 대학 담당자 간담회」를 화상회의 솔루션(ZOOM)으로 개최하였다.
     
    ❏ 이번 간담회에는 2021년 대학기관평가인증 평가 대상 대학 18개교의 담당자 약 35명이 참석하였고, 평가원에서는 현지방문평가와 관련하여 대학 담당자의 역할, 현지방문평가 세부 일정 및 진행 협조 요청 사항 등을 자세하게 안내하였으며 이와 관련하여 대학 담당자들의 문의사항에 대한 답변의 시간을 가졌다.
     
    ❏ 「2021년 대학기관평가인증 현지방문평가준비를 위한 대학담당자 간담회 자료집」은 한국대학평가원 홈페이지(https://aims.kcue.or.kr)의 ‘게시판-자료실’에서 다운로드 할 수 있다.

     
 

인증 FOCUS

 
  • 2021년 제2차 인증운영위원회 개최


  • ❏ 한국대학교육협의회(회장 김인철, 이하 ‘대교협’) 병설 한국대학평가원(원장 안세근, 이하 ‘평가원’)은 2021년 8월 9일(월)에 디이그제티브센터코리아 서울파이낸스센터에서 「제2차 인증운영위원회」를 화상회의 솔루션(ZOOM)으로 개최하였다.
     
    ❏ 이번 인증운영위원회 회의에서는 인증자격모니터링 평가 대학 시정 권고 기준연도 설정과 인증자격모니터링 인증자격 정지 대학 관련 조치 사항 그리고 2022년(상반기) 대학기관평가인증 운영 방안(안)에 대해 논의를 하였다.
     
    ❏ 평가원은 인증운영위원회 논의 결과를 반영하여 대학평가인증위원회 제11차 회의에서 관련 내용을 확정하였다.

     
  • 제14기 대학평가인증위원회 제11차 회의 개최


  • ❏ 한국대학교육협의회(회장 김인철, 이하 ‘대교협’) 병설 한국대학평가원(원장 안세근, 이하 ‘평가원’)은 2021년 8월 24일(화)에 디이그제티브센터코리아 서울파이낸스센터에서 「제14기 대학평가인증위원회 제11차 회의」를 화상회의 솔루션(ZOOM)으로 개최하였다.
     
    ❏ 위원회는 본 회의에서 2018년 인증대학 인증자격모니터링 평가 결과, 2019년(하반기) 조건부인증 대학 보완평가 결과, 그리고 2022년(상반기) 대학기관평가인증 시행 여부에 대해 심의하여 확정하였다.
     
    ❏ 이 외에도 대학평가인증위원회 10차 회의록과 함께 인증운영위원회를 통해 논의된 인증자격모니터링 평가 대학 시정 권고 기준연도 설정과 인증자격모니터링 인증자격 정지 대학 관련 조치 사항에 대해 확정하여 보고하였다.

     
     
  • 2021년 제2차 인증 규정 개정 소위원회 개최


  • ❏ 한국대학교육협의회(회장 김인철, 이하 ‘대교협’) 병설 한국대학평가원(원장 안세근, 이하 ‘평가원’)은 2021년 9월 9일(목)에 컨퍼런스하우스 달개비에서 「제2차 인증 규정 개정 소 위원회」를 개최하였다.
     
    ❏ 인증 규정 개정 소위원회에서는 통폐합 대학의 인증 관련 규정 개정(안), 인증판정 후속조치 관련 규정, 인증판정 관련 용어에 대한 검토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추후 차기 회의에서는 규정 개정(안)의 세부 조항을 검토하여 확정하기로 하였다.

     
 

인터뷰

 
  • 3주기 대학기관평가인증 인증대학 인증자격모니터링 운영 방향 소개 / 방재현(평가기획팀 팀장)

  • 1. 3주기 인증자격모니터링 개요
     
    ◦ 인증자격모니터링은 대학기관평가인증 결과에 대한 지속적 관리, 인증대학의 평가 결과 유지와 질적 수준 향상을 통한 대학 발전 유도, 대학기관평가인증 이후 인증대학의 변화 정보 및 동향 파악을 목적으로 인증 판정 후 2개년 실적으로 3년차에 실시하게 되고, 「대학기관평가인증규정」 제23조에 따라 인증을 받은 대학은 반드시 참여해야 함
    ◦ 2021년부터 시작된 3주기에서는 대학의 평가부담 완화를 위해서 기존 2주기에 운영하였던 인증자격모니터링을 개선하여 운영할 예정임(3주기 인증자격모니터링 평가는 2024년 실시 예정)
    ∙ 평가내용: 2주기에서는 필수평가준거(6개) 및 30개 평가준거에 대한 인증기준 충족 여부를 확인하면서 본평가에서 미흡(W) 또는 미충족(F) 판정을 받은 평가준거에 대한 개선 여부까지 함께 확인한 반면, 3주기에서는 전체 평가준거가 아니라 본평가에서 조건부충족(CP) 또는 미충족(F) 판정을 받은 평가준거에 대한 개선 여부와 충족(P) 판정을 받은 평가준거의 이행권고사항에 대한 조치 여부를 중심으로 확인하고, 사전평가를 통해 기준값을 충족하지 못한 정량지표가 포함된 평가준거의 충족 여부 등도 함께 평가할 예정임
    ∙ 판정체계: 기존의 3단계 판정체계는 동일하나 용어를 변경하여 ‘인증유지’, ‘시정권고’, ‘인증정지’로 구분하고, 조치사항은 2주기와 동일하게 운영할 예정임

    2. 3주기 인증자격모니터링 운영 절차(안)
     
    ◦ 3주기 인증자격모니터링의 구체적인 운영 절차(안)은 다음 [그림 1]과 같음
    ∙ 2주기에서는 설명회 및 담당자 워크숍 이후 대학은 30개 평가준거에 대해서 자체진단평가보고서를 작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평가를 진행하였으나, 3주기에서는 설명회 이후 인증모니터링위원회를 구성하여 사전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각 대학의 보고서 작성 내용을 결정하여 진행할 예정임. 서면평가 이후 내용은 2주기와 동일한 절차로 운영할 것임

     

    3. 3주기 인증자격모니터링 준비를 위한 제언
     

    ◦ 인증자격모니터링은 인증을 획득한 대학을 대상으로 5년 간의 인증기간 중 3년차에 실시하는 중간평가 성격의 평가로서 2주기와 동일하게 서면평가 중심으로 운영함. 단, 대학의 평가부담 완화를 위해서 사전평가를 통해 보고서 작성 평가준거를 결정하여 해당하는 평가준거에 대해서만 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할 것임
    ◦ 또한, 2주기에서는 본평가에서 미흡(W) 또는 미충족(F) 판정을 받은 평가준거에 대한 개선 여부를 확인했다면 3주기에서는 본평가에서 조건부충족(CP) 또는 미충족(F) 판정을 받은 평가준거에 대한 개선 여부 뿐만 아니라 충족(P) 판정을 받은 평가준거의 이행권고사항에 대한 조치 여부도 확인할 것임. 그렇기 때문에 본평가 이후 평가원에서 제공하는 평가결과보고서에서 충족(P) 판정을 받은 평가준거라 하더라도 이행권고사항이 명시된 경우에는 이에 대한 개선 노력을 반드시 실시해야 함
    ◦ 2주기 인증자격모니터링 평가 결과를 살펴보면, 주로 정량지표의 기준값을 충족하지 못해서 시정권고 이하의 조치를 받는 대학이 있었음. 3주기에서는 사전평가를 통해 편람에서 제시한 정량지표의 기준값 충족여부를 확인할 것이기 때문에 인증 획득 이후에 정량지표에 대한 관리를 철저하게 실시하여 인증자격모니터링 평가를 대비할 필요가 있음
    ◦ 인증자격모니터링을 참여하지 않게 되면 인증이 취소될 수 있기 때문에 해당하는 시기에 반드시 평가를 받아야 하고, 평가 시 발생하는 수수료가 있기 때문에 인증자격모니터링 평가 시점 이전에 미리 수수료 관련 예산을 확보하여 반영할 필요가 있음
    ◦ 3주기 첫 인증자격모니터링은 2023년 11월 중 설명회를 실시할 예정이기 때문에 올해 본평가를 받는 대학은 일정을 참고하여 준비하는 것이 필요함




     
한국대학평가원